티눈 핵 제거 레이저 치료 후 1주 넘게 지속되는 통증과 회복 지연, 감염 우려까지 겪은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해결 과정과 관리 방법을 안내합니다.
레이저로 티눈 제거한 뒤, 발 디딜 때마다 울컥했습니다
병원에서 티눈 핵 제거 레이저 시술을 받은 지 일주일이 지났습니다.
통증은 줄어들 줄 모르고, 발바닥은 여전히 민감하게 욱신거렸습니다.
처음에는 당연한 회복 과정이라 생각했지만
걸을 때마다 찌릿하고, 한밤중에 쿡쿡 쑤시는 감각이 계속됐습니다.
혹시 잘못된 걸까? 감염된 건 아닐까?
수술보다 회복이 더 힘들다던 말이 현실이 되기 시작했습니다.
약은 꾸준히 먹었지만 마음은 불안했습니다
병원에서는 항생제와 소염제를 5일치 처방해줬습니다.
하루도 빠짐없이 복용했지만 통증은 쉽게 가라앉지 않았습니다.
상처 주변은 살짝 붉고, 발을 바닥에 댈 때마다 묘하게 아렸습니다.
혹시 진물이 나는 건 아닐까 걱정되었고,
딱지가 앉긴 했지만 조금만 걸어도 다시 벌어질 것 같았습니다.
인터넷에서 검색을 해보니,
레이저 제거 후 통증은 보통 2~5일, 길면 7일 정도라고 했습니다.
그런데 전 그 이상이었죠.
재방문 전, 스스로 할 수 있었던 관리법
막막한 마음에 다시 병원 가기 전
제가 직접 실천했던 회복 관리 방법입니다.
- 발을 심장보다 높게 올려 휴식했습니다.
(쿠션을 두 개 겹쳐 침대에 올려놓고 하루에 몇 번씩 올렸습니다.) - 발바닥에 직접 압박이 가지 않도록
스폰지 깔창과 푹신한 실내용 슬리퍼를 사용했습니다. - 하루 2~3번씩 냉찜질을 했습니다.
얼음팩 대신 차가운 수건을 이용해 발바닥에 올려두는 식이었습니다. - 상처 부위는 깨끗이 유지했습니다.
미온수에 적신 거즈로 닦고, 멸균 거즈로 환기해가며 덮었습니다.
가만히 있어도 낫는 줄 알았는데
작은 노력 하나하나가 통증을 조금씩 줄여줬습니다.
가장 궁금했던 건 ‘언제부터 발을 씻어도 될까?’ 였습니다
솔직히 씻지 않으니 더 불안했습니다.
혹시 위생 문제로 상처가 더 늦게 낫는 건 아닐까 하는 걱정도 있었죠.
제가 들은 팁은 이렇습니다.
- 딱지가 잡혔다면 샤워 시 잠깐 물 닿는 건 괜찮습니다.
- 단, 아직 벌어짐이나 진물이 있다면 절대 물에 담그지 말 것.
- 씻고 나면 반드시 완전히 건조한 상태로 드레싱을 해줄 것.
그래서 저는 발 전체를 씻기보다
젖은 물티슈로 주변만 닦고, 환기 시간을 충분히 줬습니다.
상처 부위는 완전히 마르기 전엔
절대 양말도 신지 않았고, 드레싱 교체는 하루 2번 이상 꼼꼼하게 했습니다.
병원 재방문은 결국 정답이었습니다
통증이 계속되자 10일째 되는 날 병원을 다시 찾았습니다.
의사 선생님은 상처는 정상적으로 아물고 있지만
생체 조직이 예민한 위치라 회복이 늦을 수 있다고 설명해주셨습니다.
감염은 아니었고,
상처가 살짝 벌어졌던 게 통증의 원인이었습니다.
그러면서 이렇게 조언해주셨습니다.
- 티눈 핵 제거 부위는 깊기 때문에 회복이 오래 걸릴 수 있음
- 발바닥처럼 지속적으로 압력이 가해지는 부위는 더더욱 그렇다
- 무리하게 걷지 말고, 최소 2주는 조심하라고 하셨습니다
그 말을 듣고 나서야 안심할 수 있었고,
그때부터 회복 속도도 눈에 띄게 좋아졌습니다.
이 경험을 통해 꼭 말하고 싶은 것들
- 통증이 일주일 넘게 가면 병원 다시 가세요.
괜찮다고 생각해도 상처 속 상태는 다를 수 있습니다. - 발 씻기는 무조건 딱지가 잡히고 마른 상태에서만.
그전엔 주변만 가볍게 닦는 게 가장 안전했습니다. - 걷는 걸 최소화하세요.
발바닥은 체중이 실리기 때문에 조금만 압박돼도 상처가 쉽게 벌어졌습니다. - 냉찜질, 깔창, 드레싱… 다 귀찮지만 정말 도움 됩니다.
처음 3~4일만이라도 집중해서 관리하면 확실히 달라집니다. - 스스로 괜찮다고 단정 짓지 마세요.
상처 회복은 눈으로 보이는 게 전부가 아닙니다.
티눈 핵 제거 레이저 관련 많이 하는 질문들
- 티눈 제거 후 통증은 언제까지 지속되나요?
보통 2~7일이지만 깊이에 따라 더 오래갈 수 있습니다. - 상처 부위에 물 닿아도 괜찮을까요?
딱지 형성 후에는 가능하지만 벌어졌다면 금지입니다. - 어떤 신발을 신는 게 좋나요?
앞코가 넉넉하고 쿠션이 있는 슬리퍼나 운동화가 좋습니다. - 드레싱은 하루 몇 번 해야 하나요?
보통 1~2회지만 땀이 많다면 더 자주 교체하세요. - 감염 여부는 어떻게 알 수 있나요?
붉어짐, 진물, 냄새, 통증이 심해지면 병원 가야 합니다.
티눈 통증이 길어질수록 더 조심해야 합니다
조금 아프다고 참지 마시고
발의 상태는 꼭 눈으로 확인하고, 이상하면 병원에 들러야 합니다.
가볍게 시작한 티눈 치료가
오히려 더 큰 불편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걸 꼭 기억하셨으면 합니다.
'* 건강 정보 * > 피부과·외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데기 화상 듀오덤으로 관리해본 리얼 후기 (0) | 2025.06.23 |
---|---|
인천피부과 여드름 치료 직접 받아본 후기 (0) | 2025.06.22 |
겨드랑이 부종 원인과 염증, 그냥 넘기면 위험합니다 (0) | 2025.06.09 |
두드러기 치료법과 약 언제까지 먹어야 할까? (0) | 2025.06.07 |
냉동치료 반복해도 재발하는 사마귀 해결법 (0) | 2025.06.05 |